실습) 다음은 KH 마트에서 관리해야 할 데이터를 기술한 것이다. KH 마트에서는 고객을 관리하기 위해 고객명, 주소 및 주민번호를 기록한 명단을 보유하고 있다. 물품관리를 위해서 각 물품마다 물품명, 단가, 수량 및 각 물품에 고유한 물품번호를 기록한다. 어느 한 물품을 여러 고객들이 구입가능하고 어느 한 고객이 여러 물품들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이 물품을 구입할 때마다 날짜와 구입수량 및 총 구입가격을 기록한다. 물품들은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므로 제조회사들에 대한 데이터도 관리하며, 각 제조회사마다 제조회사명, 주소, 전화번호 및 각 제조회사에 고유한 제조회사번호를 기록한다. 어느 한 제조회사는 여러 물품들을 만들며, 어느 한 물품은 한 회사에서만 제조된다. Entity 후보 풀 Entity ..
실습 1) 다음은 회사 출결에 대한 내용이다. 회사에서 사원들의 출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각 사원마다 사번, 이름, 성별, 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를 기록하여 출결사항을 날짜 별로 기록한다. Entity 후보 풀 Entity List Entity명 속성 유사어 Entity 기술서 Entity명 Entity 설명 관련 속성 유사어 비고 실습 2) 다음 업무 기술서는 고객 상담 관련 업무이다. 고객으로부터 전화를 받는다. 고객이 남성이면 A타입 상담일지에 기록하고, 여성이면 B타입 상담일지에 기록한다. 한 건의 상담에 대해 고유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상담 내용이 수리 요청이면 상담일지를 A/S 부서에 Fax로 전송한다. 상담 내용이 반품 요청이면 반품 목록에 고객 이름, 전화번호, 반품 내역을 기록..

개념적 모델링이란? 업무 분석 자료(거래 명세서 양식, 가입 신청서 및 전표, 업무 기술서)를 통해 엔티티를 도출하고 속성을 도출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 Entity 정의 엔티티 도출 업무 분석 단계 이후, 분석 자료(업무 기술서, 인터뷰 자료, 장부와 전표 등...)들로부터 엔티티 도출 엔티티 도출 과정 정해진 공식은 없으나 경험이 없으면 다음의 과정들을 거쳐서 엔티티 기술서 작성 엔티티 후보 풀과 엔티티 리스트를 그린다. - 틀 만들기 분석 대상 문서를 보고 명사를 찾아 표시한다. 명사 하나하나에 대해 속성인지 엔티티인지를 구분한다. 중복된 명사나 유사한 의미의 명사는 하나로 정리한다. 엔티티 후보 풀에 있는 명사들을 검토한다. - 엔티티? 속성? 애매한 것들 검토, 끝까지 애매한 것들은 후보 풀에 ..
DB 모델링의 주요 개념 관계(Relationship) 두 엔티티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낸다. 엔티티간의 어떠한 관계로 연결이 되어 있는지 등등을 나타낸다.ex) 학생 - 수강과목 / 학생은 수강과목을 수강한다. 수강과목은 학생으로부터 수강된다. 두 엔티티 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은 실무적인 관점에서 봤을때 상호공유하는 속성이 있다는 것과 같다.엔티티 간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서 속성이 공유되게 된다. 서로 공유하는 속성이 없다면 '관계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라는 것과 같은 말이다. 그래서 이런 관계라는 건 데이터를 매개로한 업무의 흐름과 데이터의 흐름을 규명하게 된다. 그래서 데이터의 발생 경로와 어떤 경로를 거쳐서 데이터가 어떻게 변화하고 진화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 관계라는 것을 통해서! ex..
www.erdcloud.com ERDCloud Draw ERD with your team members. All states are shared in real time. And it's FREE. Database modeling tool. www.erdcloud.com 해당 사이트 접속 회원가입 후 로그인 (구글) 나의 ERD 에서 + 버튼 클릭 후 ERD 작업 *팀 공유 기능이 있어 프로젝트 진행 시 유용하다. 사용 팁 +엔티티 작성시 복잡하게 보일 수 있는데, 논리,물리 모델링이 합쳐진 형태로 보여져서 그렇다. 조금 간단하게 보려면 왼쪽 편에 L 아이콘을 누르면 논리 모델링으로 확인 가능하고, 설정에서 도메인, 타입 표시 설정을 지우면 간단하게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왼쪽 편에 P 아이콘을 누르면..

모델링이란? 말 그대로 모델을 만드는 작업을 뜻한다.→ 즉, 현실 세계를 단순화 시켜 표현하는 기법← 실체 (Reality) →→모델링→→ 모델 (Model) ←←구현←← 모델링 에서는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 라는 걸 지켜서 모델링 작업을 해야 한다. 추상화 : 내가 개발을 할 때 딱 필요한 것들만 추출하는 것. 단순화 : 이해 하기 쉽지만 규칙이나 규약이 제시 되어있는 것 ex) 다이어그램 명확화 : 애매하게 그리지말고 정확하게 그려야 한다는 것. 즉, 딱 필요한 것들만 가지고 규칙이나 규약을 지켜서 이해하기 쉽고 정확하게 그려야한다는 것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소프트웨어(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 요구사항 분석→ 프로그램 설계→ 프로그램 구현(코딩)→ 통합/테스트→ 유지보수 요구사항 분석 +..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기초
- 자바 반복문 for문
- 스프링 로그
- 자바 switch case
- 자바 반복문
- 자바 do while
- if else if
- 반복문
- 다운캐스팅
- java 프로그래밍이란
- 자바 if else if else
- 조건문
- 자바 프로그래밍이란
- 스프링 로깅
- 자바
- java란
- 중첩반복문
- Switch Case
- 객체지향이란
- 스프링 logging
- if if
- 자바 조건문 if else
- 자바의 기초
- 자바 조건문 if else if문
- Downcasting
- 자바 if if
- 자바 연산자 우선순위
- java
- 반복문 break continue
- 데이터베이스 nul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